모집단을 전부 조사하기 곤란할 때, 모집단 중에서 충분한 표본을 선정하여 표본에 대하여 연구해서 모집단 전체로
일반화하는 방법인 표본추출을 하는 방법들 중에 하나로 시험에 빈번하게 출제되면서 헷갈리는 개념이 바로
'층화 표본추출과 집락 표본추출'입니다.
층화 표본추출
모집단을 2개 이상의 동질적인 특성을 가진 층으로 구분하고, 각 층으로부터 단순 무작위 추출방법을 적용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집락(군집) 표본추출
모집단을 조사단위 또는 집계단위를 모은 군집(Cluster)으로 나누고, 군집들 중에서 일부의 군집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군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방식이다.
두 가지 방법 모두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층이나 집락을 만들고, 층이나 집락 안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점이 유사하기에 많이들 헷갈리는 개념이다.
그러나 두가지 방법은 분명히 각기 다른 방법으로 각각의 방법이 가지는 특징도 출제된다.
층화 추출방법의 특징
표본추출 단위는 구성 요소이다.
층 내는 동질적이고 층 간은 이질적이다.
집락 추출방법의 특징
표본추출 단위는 집락이다.
집락 내는 이질적이고 집락 간은 동질적이다.
집락 내부가 모집단의 특징과 일치하면 가장 이상적이다.
층화 추출 방법은 애초에 모집단을 동질적인 층들로 나누기 때문에 층 내는 동질적이고 층간에는 이질적일 수밖에 없다.
모집단을 계단처럼 나누었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한 가지 예로 백화점을 생각해보자.
1층 화장품, 2층 의류, 3층 가전제품, 4층 음식점....
이런 식으로 같은 층에 있는 건 동질적이지만 층마다는 이질적으로 서로 다른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에 반해 집락 표본추출방법은 층화 추출과는 반대로 집락 내는 이질적이고 집락 간이 동질적이다.
게다가 그런 집락이 모집단의 성질과 비슷한 게 가장 이상적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보면 이해하기가 쉽다.
학교에 다니는 고등학생 전체가 모집단이라고 했을 때, 그들이 다니는 학교가 여러 개 있을 것이다. 그 학교들을 집락(군집)으로 한다.
학교 내에는 1학년, 2학년, 3학년 등이 있어서 이질적인 집락 내부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집락 간, 다시 말해 학교끼리는 구성이 비슷하게 학생들이 있을 테니 서로 동질적이게 된다.
그렇게 추출된 군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표본으로 추출해 구성된 표본이 모집단의 특성과 가장 유사하다면 이상적이라는 것이다.
'제라비의 이런저런 이야기 > 자기 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근히 많이 사용되는 '시나브로' 뜻 (0) | 2021.12.02 |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예비조사와 사전조사' (0) | 2021.06.30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사회적으로 바람직해 보이려는 편향' (0) | 2021.06.25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코호트조사와 패널조사' (0) | 2021.06.23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실기의 기본, 4가지의 척도! (0) | 2021.06.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