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라비의 이런저런 이야기/자기 계발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코호트조사와 패널조사'

제랍 2021. 6. 23. 11:54
반응형

 

 

조사방법에 대한 문제 중에는 질문지나 면접 등 어떤 조사방법이 더 상황에 적합하고 좋은지 묻기도 하지만

어떤 대상을 선정하여 조사할지에 대한 문제도 출제가 많이됩니다.

그 중 조사대상에 따른 조사방법에 대한 문제로는 코호트조사와 패널조사에 대한 문제가 자주 출제되죠.

코호트조사와 패널조사가 자주 비교되는게 두 조사방법은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약간의 차이점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두 방법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꼼꼼히 파악하는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유사점

-한 연구대상을 일정 기간 동안 관찰하여 그 대상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는 조사 방식이다.

-둘 이상의 시점에서 분석단위를 연구하여 연구대상의 동태적변화 및 발전과정 연구에 사용된다.

 

이러한 유사점이 있지만 구 조사방법에는 차이가 있는데

주된 차이는 관찰하는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와 어떤 시점들을 비교 분석 하느냐에 있다.

 

패널조사

패널조사는 연구대상이 고정되어 있는 조사로 같은 대상을 과거에도 측정하고

미래에도 측정하고 그렇게 조사하여 비교 분석 하므로 연구대상의 동태적변화를 연구하는 방법이다.

 

연구대상을 현재, 미래 등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여러번 조사를 진행한 다음 

결과들을 비교하는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코호트조사

코호트조사는 패널조사와 달리 연구대상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같은 시간 동안 동일한 경험을 하는 연구대상이라는 특징이 있다.

 

시간적 동일성을 특징으로 하는 대상이라는 말이 조금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 있지만

예를 들면 금방 이해할 수 있다.

 

대학교 신입생들을 조사하는 경우, 이번 2021년도에 조사하고

2022년도가 되면 연구대상을 이번에 입학하는 신입생을 조사하는 것이다.

 

그렇게 조사를 계속하면 21년도 신입생, 22년도 신입생, 23년도 신입생.......

그렇게 자료가 생겨서 연도별 신입생들에 대한 조사가 되는 것입니다.


패널조사라는건 일상생활에서도 꽤 빈번히 들을 수가 있는 용어인데

코호트라는 이름은 배우지 않고는 알기가 쉽지 않죠.

사회과학 쪽은 용어를 괜히 어렵게 만드는게 특징인거 같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