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라비의 이런저런 이야기/게임 26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 후기

예전에 닌텐도 게임보이 시절에 나왔었다는 젤다의 전설 꿈꾸는 섬을 2019년 닌텐도 스위치로 리메이크되어 나온 걸로 플레이해서 엔딩을 보았습니다. 사실 발매한 해에 해보려고 도전했지만 초반 퍼즐에 막혀버려서 결국 재미를 붙이지 못하고 얼마 플레이 하지도 않고 그만두었었는데요. 이제 할 생각은 없었던 꿈 섬이지만 친척형이 젤다 광팬이라 결국 꿈 섬을 같이 플레이하게 되었습니다. 게임하면서 친척형, 라테 꿈 섬 이야기 엄청 하더라고요ㅋㅋ 젤다 퍼즐 어려운 게 몇 개 있긴 했는데 게임보이 시절이랑 비슷한 퍼즐이 많다고 해서 이번에는 별로 안 막히고 빠르게 클리어했네요. 젤다의 전설을 만든 사람이 '미야모토 시게루'라고 마리오 만든 사람과 같은 인물이라서 그런지 젤다의 전설 꿈 섬에도 굼바가 나와서 머리 밟으면..

파이널 판타지7 파트1과 크라이시스 코어 히로인 비교.

파이널 판타지7 파트1에 등장하는 히로인은 총 4명으로 티파 록하트, 에어리스 게인즈버러, 유피 키사라기(dlc스토리에 등장) 그리고 바레트와 같이 미드가르에서 신라에 대항하는 조직원 중 한명으로서 제시가 있습니다. 에어리스, 티파, 제시는 리메이크 본편에 등장하지만 유피의 경우에는 dlc에만 등장하는 캐릭터라서 본편만 즐기신 분들은 유피를 모르실 수도 있지만 유피는 파이널 판타지 7 구작에서도 나오며 크라이시스 코어에서도 조금이지만 등장하는 상당히 중요한 인물이랍니다. 파이널 판타지7 리메이크 파트1의 히로인들은 제시를 제외하면 모두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제시의 경우에는 파이널 판타지7 구작에는 등장하지 않는다고 하는 히로인이며 파트1에서 사망하여 파트2 이후로는 등장하지 않을 것으로..

(스포주의)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7 리유니온.

파이널 판타지 7은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명작이라고 불리는 작품으로 2020년에 현대 그래픽으로 리메이크되면서 파트 1이 발매가 되었는데요. 파이널 판타지7은 게임 볼륨이 너무나 방대하기 때문에 파트별로 나누어서 발매되기로 했으며 파트 1에서는 클라우드가 미드가르에서 신라에 반대하는 사람들과 함께 싸우는 이야기를 다루었는데요. 파트 1만 플레이해봐서는 영웅이라고 하는 세피로스에 대해서 제대로 등장도 하지않고 영문모를 대사만 해대 가지고 영문을 모를 수 있는데요. '크라이시스 코어 리유니온'에서 세피로스가 제대로 등장해 주고 스토리가 세피로스에 관해서도 나오는데요. 세피로스에 관한 설정만을 알고 싶다면 위키로 구작에 대한 정보를 찾아보는 방법과 넷플릭스에 '어드벤트 칠드런'라고 파이널판타지7 관련 영화를 ..

'크라이시스 코어 파이널 판타지7 리유니온' 후기

스퀘어 에닉스의 JRPG 파이널판타지 시리즈 중에서도 다들 입을 모아 명작이라고 평가하는 파이널판타지 7의 외전 격인 게임입니다. 파이널판타지 7는 방대한 스토리 분량을 가졌기에 2020년에 리메이크가 나올 때 몇 개의 파트로 나눠서 게임이 발매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파이널 판타지 7의 명성은 익히 들어왔었지만 파트 1만 플레이해가지고는 그렇게까지 명작의 느낌은 받을 수가 없었습니다. 재밌게 플레이하기는 했지만요. 저는 파트 1을 깨면서 마지막에 등장하는 삐죽삐죽 머리의 솔저가 누구인지랑 제대로 등장도 안 하고 대사도 별로 없던, 영웅이라는 세피로스가 상당히 신경 쓰였었는데 크라이시스 코어 리유니온에서는 세피로스의 이야기도 나오고 주인공 클라우드의 비밀에다가 '잭스'라는 솔저의 이야기를 전부 알 수 있어..

철권8이 공개되었습니다.

2017년 춸권7이 발매되고 5년이 지나 드디어 철권 8의 트레일러가 2022년 9월 State of Play에서 최초로 공개되었습니다. 트레일러에서는 진과 카즈야가 싸우는 영상 정도만 나왔으며 발매일 소식도 없이 공개되었는데요. 내년에 발매한다면 적어도 2023년이라고 공개할만한데 연도조차 공개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내년 발매는 무리일 것으로 보이며, 빨라도 2024년 정도에나 출시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https://youtu.be/2 hPuRQz6 IlM 넘버링 작품들의 개발 기간들을 살펴보면 철권 5 가 나온 지 2년 만에 철권 6가 나왔었는데 철권 6 하고 철권 7 사이에는 철권 태그 2가 사이에 있었지만 8년의 기간이 있었습니다. 철권 8 은 철권 7이 발매되고 이미 5년이 지나있으니, 역시 ..

소니, PSN 구독 서비스 가격 오류 인정 및 수정.

이번 PSN 구독 서비스가 에센셜, 스페셜, 디럭스로 개편되면서 기존 유저들의 업그레이드 비용이 할인받아서 구독했던 비용까지 포함되어 높게 책정되는 오류가 있었습니다. 이에 SONY 측에서는 트위터로 업그레이드 비용에 대해 기술적 오류라고 밝히며 오류를 수정했습니다. 게다가 이미 비용을 내고 업그레이드를 한 유저들에게는 환불을 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처음에는 이상한 가격정책이라며 괘씸하다고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고 기존의 구독 기간이 지나고 새로 구독하겠다는 사람도 많았는데요. 가격에 대한 오류가 수정되고 나서 기분이 풀려서 업그레이드하는 사람들도 몇몇 보였습니다. SONY는 이런 오류에 대한 사과와 대응을 빠르게 잘한 편이네요. 자신들의 오류를 인정하고 바로 시정했으니 말이죠. 대게 사과문은 자신의 잘..

PSN 새로운 구독 시스템, 합리적? 비합리적?

대표적인 콘솔 게임인 playstation에서 온라인 플레이를 하기 위해 구독하던 PSN 서비스가 액스 박스 진영의 게임 패스처럼 게임을 제공하는 신규 서비스를 시작하여 에센셜, 스페셜, 디럭스 3가지의 구독 형태로 개편되었는데요. 가장 낮은 에센셜 등급이 1년에 44900원인 기존과 같은 혜택의 구독 형태이며 스페셜부터는 게임패스처럼 무료 타이틀이 여럿 제공됩니다. 가격은 스페셜이 75300원 디럭스가 86500원 하지만 타이틀 가격을 생각했을 때 이 정도면 충분히 납득이 가는 수준이라고 생각합니다. 구독이 개편 초기인 현재로써는 무료로 제공되는 타이틀이 생각보다 적은 편이라서 앞으로의 경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타이틀이 수백 개씩 무료로 제공되는 구독 시스템에는 스페셜과 디럭스가 있는데 디럭스..

PSN 구독 서비스 개편, 제공 게임들 의외로 혜자?

기존 소니의 플레이스테이션의 구독 서비스 psn의 개편이 이루어져 3가지의 구독 서비스가 출시되었는데요. 기존에 멀티플레이를 위한 온라인 이용권에 달마다 무료 게임을 2개 정도 주던 서비스는 새롭게 에센셜 등급으로 분류되며 기존에 구독한 기간은 계속 이어지며 추가금을 내면 다른 등급으로의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부분입니다. 2번째 등급인 스페셜부터는 액스 박스 진영의 게임 패스처럼 무료 게임이 400여 가지? 나 제공된다고 하네요. 주어지는 게임들이 구작 ps2 게임들이나 한글화가 안돼 있는 게임들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도 무료로 제공되는 게임들 중에는 비교적 최신 게임들과 혜자급의 타이틀들도 있어서 구독하는 것도 나쁘진 않아 보입니다. PSN의 새로운 구독 서비스들의 가격은 에센셜 1개월 7500원 3개월..

PSN 1월 무료게임

2022년 임인년의 시작을 열며 psn 구독자에게 배포된 무료 게임들은 바로 더트 5, 페르소나 5S:스크램블 더 팬텀 스트라이크, 그리고 DEEP ROCK GALACTIC의 3가지입니다. 페르소나 5S는 페르소나5 일반판에서 이어지는 스토리를 다루고 있으며, 턴제인 기존 페르소나와는 다르게 무쌍 게임인 게 특징입니다. 페르소나무쌍이라고도 불리는 게임으로 기존 시리즈의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무쌍 게임으로 잘 만들어진 게임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플탐이 무쌍 게임이 되면서 다소 짧아졌지만 일반 페르소나 5에서 스토리가 이어지므로 반드시는 아니지만 플탐이 100시간이 넘는다는 일반판을 먼저 플레이할 필요가 있습니다. ps5를 소유한 입장에서는 ps컬렉션으로 일반판을 무료로 제공해주고 있어서 페르소나 5를 로열..

psn 온라인 정기 구독권 2만원대, 역대급 할인율이네요!

psn게임들을 온라인으로 즐기기 위해서는 ps+라는 온라인 정기 구독을 해야 하는데 psn의 정기구독료는 닌텐도 온라인에 비해 약간 비싼편이지만 대신 매달 무료게임들을 제공해 psn 가입기간 동안 즐길 수가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료게임은 한달에 3개 정도가 보통 주어지는데 아쉽게도 한글이 아닌 게임을 주거나 별로 인기 없는 게임을 주기도 한답니다. 그림의 떡처럼 vr기기가 없는데도 vr게임을 주거나 말이죠. 그래도 가끔은 아주 메이저한 작품을 풀어주는 멋진 달도 있고 말이죠. 그런 구독료는 1년 기준으로 보통 34900원! 1개월이나 3개월 단위로 구독도 가능하지만 1년 단위로 하는게 약간 저렴하기도 하고 과거에 받은 무료게임들도 구독기간 동안 쭉 플레이할 수가 있으므로 1년 단위로 구독하는 경우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