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사회조사분석사2급 5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층화표본추출과 집락표본추출'

모집단을 전부 조사하기 곤란할 때, 모집단 중에서 충분한 표본을 선정하여 표본에 대하여 연구해서 모집단 전체로 일반화하는 방법인 표본추출을 하는 방법들 중에 하나로 시험에 빈번하게 출제되면서 헷갈리는 개념이 바로 '층화 표본추출과 집락 표본추출'입니다. 층화 표본추출 모집단을 2개 이상의 동질적인 특성을 가진 층으로 구분하고, 각 층으로부터 단순 무작위 추출방법을 적용하여 표본을 추출하는 방식이다. 집락(군집) 표본추출 모집단을 조사단위 또는 집계단위를 모은 군집(Cluster)으로 나누고, 군집들 중에서 일부의 군집을 추출하고 그 추출된 군집에서 일부 또는 전부를 표본으로 추출하는 방식이다. 두 가지 방법 모두 모집단에서 표본을 추출하기 위해 층이나 집락을 만들고, 층이나 집락 안에서 표본을 추출하는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코호트조사와 패널조사'

조사방법에 대한 문제 중에는 질문지나 면접 등 어떤 조사방법이 더 상황에 적합하고 좋은지 묻기도 하지만 어떤 대상을 선정하여 조사할지에 대한 문제도 출제가 많이됩니다. 그 중 조사대상에 따른 조사방법에 대한 문제로는 코호트조사와 패널조사에 대한 문제가 자주 출제되죠. 코호트조사와 패널조사가 자주 비교되는게 두 조사방법은 유사한 부분이 있지만 약간의 차이점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두 방법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꼼꼼히 파악하는게 중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유사점 -한 연구대상을 일정 기간 동안 관찰하여 그 대상의 변화를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는 조사 방식이다. -둘 이상의 시점에서 분석단위를 연구하여 연구대상의 동태적변화 및 발전과정 연구에 사용된다. 이러한 유사점이 있지만 구 조사방법에..

사회조사 분석사 2급 실기의 기본, 4가지의 척도!

사회조사 분석사 시험에서 가장 기초가 되는 개념은 바로 척도에 관한 내용으로 실기 필답형 시험에서 명목척도, 서열척도, 동간척도, 비율척도 4가지를 예시와 함께 묻는 문제가 주로 출제되곤 합니다. 척도란? 척도라는 것은 사전적으로는 '평가하거나 측정할 때 의거할 기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가장 기본적인 척도로는 길이를 재는 자나 무게를 측정할 수 있는 계량기를 들 수 있다. 척도라는 단어부터가 자 척(尺)자를 사용한다. 명목척도 명목척도는 측정대상이 몇 개의 상호 배타적인 범주로 되어있는 것에 수치를 부여한 것을 말한다. 중요한 건 범주간에 상호 배타적이어야 한다는 점으로 범주끼리 서로 겹치면 안 된다는 의미이다. 예로는 성별이나 종교를 들 수 있다. 서열척도 서열척도는 측정대상이 그 속성에 따라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대비, '생태학적 오류와 개인주의적 오류'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시험에서 종종 출제되는 유형으로 생태학적 오류에 대한 문제가 있습니다. 생태학적 오류는 개인주의적 오류와 비교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생태학적 오류와 개인주의적 오류가 서로 반대되는 특징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개인주의적 오류라는 건 잘 쓰이지도 않고 자주 일어나는 오류도 아니라서 특별히 중요하지는 않은 개념이지만 생태학적 오류는 다릅니다. 사람들이 종종 일으키는 오류고, 알고 일상생활에 사용하기라도 하면 유식해 보이기도 하는 그런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생태학이라는 어려워 보이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쉽게 말하면 집단주의적이라는 겁니다. 개인주의적인 거의 반대는 집단주의적인 거죠. 집단주의 같은 건 예전에 사회시간 같은 데서 들어보셨을지도 모르겠네요. 오류 생태학적이든..

사회조사분석사 2급 실기 시험 n수생의 필답형 시험 팁.

설문조사의 결과지를 모아서 데이터를 코딩하고 분석하는 프로그램인 SPSS를 다루는 능력을 평가받는 자격증 시험인 사회조사분석사.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모두 합격해야하는 시험입니다. 실기시험에서는 다시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2번의 시험을 치르며 필답시험에서는 60점 만점, 작업형에서 40점 만점으로 수험을 치르게 됩니다. 실기시험에서의 합격점은 60점으로 필답형에서 100점 맞으면 작업형 보러가지 않아도 되는건가 싶을 수 있지만 필답이 다 맞았다해도 작업형 시험에 가지 않으면 실격, 작업형만으로는 40점밖에 못따니 필답형을 안봐도 당연히 붙을 리는 없고 두 번 다 수험을 치뤄야 하는 겁니다. 게다가 필답에서 만점 맞는건 전공하는 사람들에게도 어려운 일이죠. 필답으로 40점 후반이나 50점대를 맞으면 충분히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