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시험에서 종종 출제되는 유형으로 생태학적 오류에 대한
문제가 있습니다.
생태학적 오류는 개인주의적 오류와
비교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생태학적 오류와 개인주의적 오류가
서로 반대되는 특징을 가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개인주의적 오류라는 건 잘 쓰이지도 않고 자주 일어나는 오류도 아니라서
특별히 중요하지는 않은 개념이지만
생태학적 오류는 다릅니다.
사람들이 종종 일으키는 오류고, 알고 일상생활에 사용하기라도 하면 유식해 보이기도 하는
그런 개념이기 때문입니다.
생태학이라는 어려워 보이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쉽게 말하면 집단주의적이라는 겁니다.
개인주의적인 거의 반대는 집단주의적인 거죠.
집단주의 같은 건 예전에
사회시간 같은 데서 들어보셨을지도 모르겠네요.
오류
생태학적이든 개인주의적이든 둘 다 오류에 대한 개념입니다.
오류라는 것은 사전의 정의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그릇되어 이치에 맞지 않는 일.
2. 사유의 혼란, 감정적인 동기 때문에 논리적 규칙을 소홀히 함으로써 저지르게 되는 바르지 못한 추리.
3. 연산 처리 장치의 잘못된 동작이나 소프트웨어의 잘못 때문에 생기는, 계산값과 참값과의 오차.
여기서 오류라는 건 조사방법이 질문지든 실험이든 연구를 해석하는 방법에서 논리적 규칙을 소홀히 해서 저지르게 되는 올바르지 못한 결론을 내리는 것을 말합니다.
생태학적 오류
생태학적 오류란 집단의 대한 조사 결과를 그 집단에 속해 있는 개인들에게 적용했을 때,
생겨나는 오류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민트 초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모인 민초단이라는 집단이 있는데
민트 초코 피자라는 음식이 나온다고 모두가 그 음식을 좋아하지는 않을 겁니다.
민트 초코를 좋아하는 사람들이지만 민트 초코 피자라는 음식은
민초단이라도 호불호가 갈릴 수 있습니다.
개인주의적 오류
개인주의적 오류는 생태학적 오류란 의미가 반대되는 개념으로
개인에 대한 조사 결과를 집단 전체에 적용할 때 생기는 오류를 말합니다.
예를 들면 돈을 잘 버는 티스토리 블로거가 있는데
개인 한 명이 그렇다고 모든 티스토리 블로거가 돈을 잘 버는 건 아니죠.
물론 잘 버는 사람도 있겠지만 잘 못 버는 사람도 있기 마련이죠.
웬만한 지식인 분들이라면 개념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하고 계셨을 거라고 생각해요.
사회를 살다 보면 여러 집단에 속하게 되고
또 그 집단으로서 역할을 요구받거나
'그 집단 사람이면 당연히 이렇겠지.' 하면서 오해받거나 하면서 말이죠.
생태학적 오류나 개인주의적 오류,
사회를 살다 보면 자연히 생각해볼 문제죠.
솔직히 명칭 따위는 아무래도 상관없다고 생각하지만
적어도 시험에서는 요구되는 명칭대로 써야죠.
'제라비의 이런저런 이야기 > 자기 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조사 분석사 2급 필답형, '코호트조사와 패널조사' (0) | 2021.06.23 |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실기의 기본, 4가지의 척도! (0) | 2021.06.22 |
사회조사 분석사 2급 실기 시험 n수생의 SPSS 작업형 팁! (2) | 2021.06.18 |
사회조사분석사 2급 실기 시험 n수생의 필답형 시험 팁. (0) | 2021.06.15 |
사회조사분석사 2급 자격증 시험 (0) | 2021.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