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라비의 이런저런 이야기/자기 계발

사회조사분석사 2급 실기 시험 n수생의 필답형 시험 팁.

제랍 2021. 6. 15. 09:41
반응형

 

 

설문조사의 결과지를 모아서
데이터를 코딩하고 분석하는 프로그램인
SPSS를 다루는 능력을 평가받는
자격증 시험인 사회조사분석사.
필기시험과 실기시험을
모두 합격해야하는 시험입니다.

실기시험에서는 다시 필답형과 작업형으로
2번의 시험을 치르며
필답시험에서는 60점 만점, 작업형에서 40점 만점으로 수험을 치르게 됩니다.
실기시험에서의 합격점은 60점으로 필답형에서 100점 맞으면
작업형 보러가지 않아도 되는건가 싶을 수 있지만 필답이 다 맞았다해도
작업형 시험에 가지 않으면 실격, 작업형만으로는 40점밖에 못따니
필답형을 안봐도 당연히 붙을 리는 없고 두 번 다 수험을 치뤄야 하는 겁니다.
게다가 필답에서 만점 맞는건 전공하는 사람들에게도 어려운 일이죠.
필답으로 40점 후반이나 50점대를 맞으면 충분히 잘한 거라고 할 수 있죠.
참고로 전 필답 40점 초반 정도 나옵니다.

 


필답시험과 작업시험은 같은 날 행해지지 않습니다.
필답형과는 다르게 작업형은 통계프로그램인(SPSS)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른 날 다른 장소에서 수험을 치르게 됩니다.

필답형 시험은 대부분 학교를 빌려서 행해집니다.
그래서 전 모교에서도 시험을 본적이 있죠.
그래서 시험은 주말에 행해지는데 주로 토요일에 시험을 보게 됩니다.

시험시간은 2시간으로 문제는 열댓개 정도 된답니다.
하지만 필기시험과는 달리 필답시험이라는 이름답게 답안지에 주관식으로 적어야합니다.
그래도 제대로 공부한 사람이라면
1시간 30분으로도 문제를 다 풀고 한번 검토도 가능할 정도로 꽤 시간이 널널한 편의 시험이죠.
시험은 하루에 오전과 오후 2번 있으니까 원서접수하실 때 잘 고려하셔야죠.
시험은 봐야 하는데 원하는 시간과 장소가 이미 마감됐다면 어쩔수 없지만요.

사조사2급 시험은 1년에 3번 있고
매년 합격률이 비슷해지도록
필답이나 작업
문제의 난이도를 조정하는 경향이 있답니다.
그래도 합격률이 반정도는
될테니까 열심히 해보세요.^^


다음으로는
필답형 시험 문제 유형에 대해서 입니다.


시험 문제는 열댓개 정도에서 왔다갔다 합니다.
한 문제에 설문지가 지문으로 나와서 한장을 전부 차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그런 문제는 잘 읽고 해석하면 별 거 없기도 하고
빈칸채우는 문제인 경우도 많아서 답안도 그렇게 길게 적지 않아도 되는 문제인 경우가 많습니다.
관건은 제대로 해석하고 답을 써야하는거죠.
이런 문제는 1번이라고 뭉뚱그리지만 큰1번 속에 작은 문제들이 있어
각자 부분점수가 있을 겁니다.

그리고 시험에 자주 나오는 것들 7가지 정도를 뽑아봤습니다.
4가지 척도
사전조사
연역적, 귀납적 방법
4가지의 연구 방법
표본추출 방법
생태학적 오류
어떤 조사의 장단점

이것들 중에서 자세하게 공부할 필요없이
그냥 개념 정도로만 알아도 시험에는 무방할 것들로는
4가지 척도나 연역, 귀납 정도네요.
척도는 작업형하기 위해서는 기본이니까 확실히 이해하는게
아무래도 좋지만, 필답형에서는 개념정도만 문제로 나옵니다만
최근에는 설문지 문제가 자주나와
합격을 목표로 한다면 척도에 대한건 기본중의 기본으로 아셔야 합니다.
사전조사나 생태학적 오류는 그렇게까지 자세히 알필요는 없지만
사전조사를 하는 이유와 특징, 생태학적오류의 경우에는 개념이랑 예시는
공부하시는게 좋습니다.

자료를 조사해서 분석해야 하는 자격증이기에
아무래도 가장 중요한건
연구방법에 관한 지식이죠.
어떤 조사 방법으로 조사했는지에 따라도 다른 연구방식을 사용해야 하니깐요.

첫번째로 중요한건
고등학교 사회문화 때에도 배우는
질문지법, 면접법, 실험법, 참여관찰법, 문헌정보법이 있습니다.
이게 문과 자격증이라 그런지 이과 특징의 실험법에 관한건 고등학교 수준의 지식으로도 충분합니다.
문헌정보법도 별로 깊게들어가지는 않는데
나머지 질문지법, 면접법, 참여관찰법에 대해서는 조금 깊은 이해가 요구됩니다.
문제가 어렵게 나오면 사회학 전공자라도 쉽게 풀 수가 없게 나올 수 있으니 이 부분은 공부가 필요합니다.



 

반응형